시민정치

[이민세 칼럼] '공동체의식 확립운동'을 지피자

민세 만세 2008. 6. 7. 00:54

'공동체의식 확립운동'을 지피자

 

[경기일보 2008-6-7]

각 중앙 일간지 1면에 실린 촛불집회 사진을 보면서 착잡한 심경을 가눌 길이 없다.


우선은 어쩌다가 이렇듯 대규모의 시민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도심으로 나와 몸부림을 치게 했는가가 제일로 원망스럽다. 그 다음으로는 과연 언제까지 나라꼴이 이 지경이 되도록 정치권이 방기를 하겠다는 것인가도 따져 묻고 싶다.


지난 한·미간 쇠고기 협상에는 분명 그 내용 중 일부에서 국민적 저항을 불러일으킬만한 소지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당국의 협상력 미숙 내지 감독기능의 일탈이 결과적으로 오늘과 같은 불미스러운 사태를 촉발시킨 근원이었다 해도 변명의 여지가 없을 듯하다.


지금 우리는 국제환경적 측면에서 심각한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 온전한 자원 하나 없는 우리로서는 곡물을 비롯한 각종의 원자재 값, 특히 연일 계속되는 국제유가 상승은 우리 경제의 활로 모색에 치명타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는 당분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오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업투자도 생각만큼 늘지 않아 고용시장 사정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오늘에 우리 사정이 이렇듯 심각할진대, 언제까지 쇠고기 문제로 이 나라가 혼란스러움에 빠져있어야 한단 말인가. 문제 제기는 이것으로 충분하고 지금부터는 온 국민이 지혜를 모아 하루빨리 이 문제를 수습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야 한다.


오늘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국내외적 환경변화에 어떻게 슬기롭게 대처할 것인가’여야 하는 것이다. 당장에는 우리 축산농가에 대한 설득력 있는 피해구제책이 나와야 할 것이고, 넓게는 우리 경제의 위기상황에 따른 대처방안도 국민 앞에 제시되도록 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대목에서 우리가 결단코 간과해선 안 될 것이 있다. 오늘의 난국을 극복함에 있어서 그 모든 책임을 과연 정부당국에만 떠넘겨도 좋겠는가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 지금은 총체적 위기국면이다.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지역 간 이념 간 대립구도도 또한 있을 수 없다. 오로지 전 국민적인 총력결집만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공동체의식 확립운동’을 제창하고자 한다. 이는 곧 하루빨리 우리 경제의 메커니즘이 정상 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런 차원에서 정부의 역할이 가장 크다는 점은 부언의 여지가 없다. 서둘러 민심을 수습하고 민생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기 바란다. 정치권에 대해서도 주어진 소임에 보다 충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자 한다. 국회는 민심의 분열을 조정하는 곳이지 조장하는 곳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기업과 노동계에도 주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국민경제의 성장 내지 국내 소비기반의 진작 없이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을 도모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런 측면에서 임단협을 비롯한 제품가격 상승 요인 등에 대해 최대한 자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끝으로 지역사회 단위별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구호활동에 범시민적인 동참이 있기를 주문하고자 한다. 경제가 어렵다보니 혹여 이들에 대한 구호의 손길도 자칫 뜸해질 우려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나눔의 미덕이 더 한층 소중한 시기이다. 이웃을 돌아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매우 절실한 지금의 시점이 아닐 수 없다.

 

 결론적으로 오늘에 우리에게 처해진 이 위기상황을 모쪼록 우리 국민 모두가 힘을 합해 슬기롭게 극복해낼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소망해본다.

 

 

이민세 / 뉴라이트 경기연합 대변인, 고양희망나누기운동본부 상임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