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가 자신이 제기한 이슈를 대대적으로 홍보할 때, 경쟁 후보가 이러한 이슈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거나 비판한다면, 선거 양상은 먼저 이슈를 제기한 후보자에게 유리하게 돌아가게 되고 그는 선거의 주도권을 잡게 되는 셈이다.
상대후보를 조종하고 상대 후보에게 조종되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슈 선점을 통해 주도권을 잡는 것이다.
상대후보를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해서는 이슈를 먼저 제기하고 상대 후보가 이에 말려 들도록 해야 한다.
상대후보가 자신이 제기하는 이슈에 대해 아무리 무시하려고 하더라도 대응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것은 상대후보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응하지 않으면 안될 부분을 건드리는 것이다.
지역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소문, 의구심을 갖는 소재를 찾는 것이 좋다.
어떤 선거에서는 이미 검찰의 '무혐의' 판정이 난 후보의 '횡령' 부분을 상대 후보가 끈질기게 언급함으로써 그 후보는 횡령 사실에 대해 해명에만 급급하다가 선거 기간을 모두 보낸 적도 있었다.
사실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구심을 갖는 부분에 대해 공격을 늦추지 않음으로써 상대후보를 무력화 시켰던 것이다.
상대후보가 당신의 당신의 이슈에 말려 들기만 한다면 당신은 분명 선거전의 주도권을 잡을 수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슈의 폭이 넓어질수록 유권자들의 지지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여기서 정말 주의해야 할 점은 반대로 상대후보의 이슈에 절대로 말려 들지 않도록 해야만 할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상대후보에게 이슈 선점을 빼앗겼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그 때는 과감하게 무시해 버려야 한다. 다소 힘이 들더라도 상대후보의 이슈를 무력화 시키고 유권자들이 더욱 공감할 수 있는 이슈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슈 제기의 기회를 선점당했다면 이를 회복시키기는 더욱 힘들어지기 때문에 선점이 보다 유리한 것이다.
따라서 이슈 개발은 선거전에 이미 아루어져야 하며 상대후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유권자의 욕구, 지역 현안의 각종 문제점, 그리고 그 대책에 대해서 점검하고 어떤 이슈를 제기 할 것인가를 구상하고 있어야만 할것이다.
하나의 이슈만을 구상하기 보다는 여러 대안을 놓고 시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안배해서 터뜨리는 것이 좋다.
선거 컨셉에 맞는 이슈를 먼저 제기하여 선거의 주도권을 잡느냐, 못잡느냐 하는 것은 선거승패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상대후보를 조종하고 상대 후보에게 조종되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슈 선점을 통해 주도권을 잡는 것이다.
상대후보를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해서는 이슈를 먼저 제기하고 상대 후보가 이에 말려 들도록 해야 한다.
상대후보가 자신이 제기하는 이슈에 대해 아무리 무시하려고 하더라도 대응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것은 상대후보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응하지 않으면 안될 부분을 건드리는 것이다.
지역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소문, 의구심을 갖는 소재를 찾는 것이 좋다.
어떤 선거에서는 이미 검찰의 '무혐의' 판정이 난 후보의 '횡령' 부분을 상대 후보가 끈질기게 언급함으로써 그 후보는 횡령 사실에 대해 해명에만 급급하다가 선거 기간을 모두 보낸 적도 있었다.
사실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구심을 갖는 부분에 대해 공격을 늦추지 않음으로써 상대후보를 무력화 시켰던 것이다.
상대후보가 당신의 당신의 이슈에 말려 들기만 한다면 당신은 분명 선거전의 주도권을 잡을 수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슈의 폭이 넓어질수록 유권자들의 지지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여기서 정말 주의해야 할 점은 반대로 상대후보의 이슈에 절대로 말려 들지 않도록 해야만 할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상대후보에게 이슈 선점을 빼앗겼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그 때는 과감하게 무시해 버려야 한다. 다소 힘이 들더라도 상대후보의 이슈를 무력화 시키고 유권자들이 더욱 공감할 수 있는 이슈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슈 제기의 기회를 선점당했다면 이를 회복시키기는 더욱 힘들어지기 때문에 선점이 보다 유리한 것이다.
따라서 이슈 개발은 선거전에 이미 아루어져야 하며 상대후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유권자의 욕구, 지역 현안의 각종 문제점, 그리고 그 대책에 대해서 점검하고 어떤 이슈를 제기 할 것인가를 구상하고 있어야만 할것이다.
하나의 이슈만을 구상하기 보다는 여러 대안을 놓고 시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안배해서 터뜨리는 것이 좋다.
선거 컨셉에 맞는 이슈를 먼저 제기하여 선거의 주도권을 잡느냐, 못잡느냐 하는 것은 선거승패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선거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전에서의 계층별 공략 작전 (0) | 2008.02.17 |
---|---|
토론회의 효율적인 전략에 대하여... (0) | 2008.02.17 |
상대후보의 취약점에 전력을 집중하라 - 피실격허의 법칙 (0) | 2008.02.17 |
미디어와 인터넷 선거 (0) | 2008.02.17 |
선거에 당선하기 위한 계획 (0) | 2008.02.17 |